반응형
풀이
alphabet = ['c=','c-','dz=','d-','lj','nj','s=','z=']
dial = input()
for i in alphabet :
dial = dial.replace(i, '*')
print(len(dial))
replace를 쓰는구나.. 진짜 머리 좋으시다 다른분들..
보고 적은거긴 하지만 이해는 했으니 풀이를 해본다.
alphabet에 있는걸 하나씩 꺼내오는데, 이건 replace 이후에 print 값을 넣으면 어떻게 돌아가는지 더 쉽게 보인다.
alphabet = ['c=','c-','dz=','d-','lj','nj','s=','z=']
dial = input()
for i in alphabet :
dial = dial.replace(i, '*')
print(dial)
print(len(dial))
이렇게 프린트 dial을 먼저 해보면 (예시 1번의 input 값 ljes=njak 를 넣었을 때)
5번째 for문을 돌 때 lj가 확인됐고, 그것을 '*'로 치환
6번째 for문을 돌 때 nj가 확인됐고, 그것을 '*'로 치환
7번째 for문을 돌 때 s=가 확인됐고, 그것을 '*'로 치환
그렇게 *로 3개가 치환됐고,
마지막 dial의 길이(len)을 알아봄으로써, 6이라는 숫자를 얻을 수 있다.
반응형
'IT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로 입출력 받기 (0) | 2022.04.18 |
---|---|
백준 1316 그룹 단어 체커 파이썬 (0) | 2022.03.07 |
백준 5622 다이얼 파이썬 (이해 안가는 부분 해결) (0) | 2022.03.02 |
백준 2908 상수 (0) | 2022.03.01 |
백준 1152 단어의 개수 파이썬 (0) | 2022.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