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IT지식8 ChatGPT, 지브리 스타일 도대체 뭐길래 ? - 논란 / 사용법 요새 GPT로 지브리 스타일로 변경하는 것이 매우 핫하다. 아래와 같은 기사를 살펴보자.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변환, AI 기술 논란 속 인기최근 오픈AI가 출시한 최신 이미지 생성 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설립한 스튜디오 지브리의 독특한 화풍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 사용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색감, 질감, 화풍 등을 정밀하게 재현하는 기술력에 대해 "신기하다"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오픈AI의 이미지 생성 기술은 지브리 스타일뿐만 아니라 심슨, 픽사, 디즈니, 슬램덩크 등의 다양한 애니메이션 스타일도 정교하게 구현할 수 있어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오픈AI의 .. 2025. 4. 1. VSCODE 꿀팁 코드 빨리 적기 (feat. Wrap with abbreviation) - Wrap with abbreviation 활용 이 기능을 활용했을 때 장점: 예를 들면 어떤 텍스트를 적고 a 태그를 사용한다고 가정해보자. a 태그를 쓰면 닫히는 a 태그도 같이 자동완성으로 나오는 것까지는 좋은데, 다시 적은 텍스트를 안에 잘라내어 붙여넣기 해야한다. 그러나 Wrap with abbreviation을 활용하면 잘라내지 않고 빠르게 작성이 가능! 1. 보기 - 명령 팔레트 (command palette) 클릭 2. Wrap with abbreviation 입력 후 설정 모양을 눌러준다. 3. 키 바인딩을 더블 클릭 한 후 원하는 단축키를 입력한다. * 참고로 나는 command + control + , 로 했다. Wrap with abbreviation 활용 영상 영상처럼 a 태그가.. 2022. 4. 5.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9장, 10장 -협업, 소스관리, 디자인, 정리) 깃(git)의 사용 - 커밋(Commit) : 깃을 통해 개발자들은 개발 단계별로 '깃발'을 꽂는 행위. - 커밋로그(Commit Log) : 커밋에는 항상 메모가 따라다닌다. 무슨 개발을 했는지 적어주는 메모. Ex. 1.개발자 A가 타임라인 수정 완료를 하면 커밋을 한다. 커밋 로그에는 '타임라인 수정 완료'라고 작성. 그러면 깃은 그곳에 깃발을 꽂는다. 2. 이후 개발자 A가 분석 기능을 개발한다. 분석 기능을 완료하고 다시 커밋을 한다. 커밋로그에는 '분석 기능 개발 완료'라고 적는다. 깃의 깃발 꽂기. - 깃발과 깃발 사이의 변화와 누가 언제 커밋했고, 어떤 부분을 바꿨는지 모두 추적해준다. 체크아웃을 통해 깃발이 꽂힌 부분의 코드로 옮겨 다닐 수도 있다. 소스코드의 버전 관리. - 브랜치(Br.. 2021. 7. 24.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7장,8장-데이터베이스와 이미지 처리,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 데이터의 '무결성' - 데이터는 단 1%의 결점도 없어야 합니다. 그래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게 어렵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많은 사람이 선택한 데이터 관리의 주요 방법론 - 엑셀과 유사 - 엑셀의 sheet를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테이블 이라고 표현. - 엑셀 파일 자체를 스키마(Schema) or 데이터베이스(database)라 표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 개발자들은 엑셀이나, 텍스트 파일에 저장하지 않는다. 이 데이터들을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가 있다. - 매우 다양하나 MS SQL, Oracle DB, MYSQL, MarinaDB 등 이 있다. - 각 프로그램별로 서로만의 특징이 있다. 데이터는 어디서 불러오지?(클라이언트, 서버) - 데이터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둘 중 .. 2021. 7. 20.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5장,6장 - 애플리케이션, 웹) 애플리케이션 기존 윈도우에서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Software)라 불림. 스마트폰이 나온 후 '앱', '애플리케이션'이라는 말이 퍼지기 시작하며 데스크톱 설치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램' 스마트폰 설치 프로그램은 '앱', '어플',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부르게됨. 회사마다 정책이 다를 순 있지만 가벼운(작은) 변화는 1.0.0 → 1.0.1 → 1.0.2 처럼 뒤 숫자 하나를 올림 중간 숫자의 변화는 하위 버전과 호환 가능하지만 큰 변화 왼쪽 끝자리는 하위 버전과 호환 가능하지 않은 큰 변화를 의미 앱 생태계 IOS - 앱스토어 - 깐깐하다. - 버그 있을 시 리젝(reject)시킴 - 심사 기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 안드로이드에 비해 앱 수가 적으나 정상작동하고 깔끔 안드로이트 .. 2021. 7. 19.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4장 정리- API와 JSON) API 서버 개발자가 개발, 클라이언트 개발자는 그 API를 사용. 여기로 요청을 보내면 이러한 응답을 주고, 저기로 요청을 보내면 저러한 응답을 줄게 라고 정해놔야한다. 그래야 요청하는 쪽에서 정확한 곳에 요청을 보낼 수 있기 때문. '정확한 곳'에 해당하는 주소는 '서버주소/A' 의 형태로 정의됨. 예를들어 서버주소/A 신호를 보내면 로그인 기능을 수행, 응답 서버주소/B 신호를 보내면 회원 가입 기능 수행, 응답 잘 되었는지, 문제가 있는지, 무슨 문제가 있는지 등등을 알려줌. CRUD 타임라인에 사진을 올리는 요청을 했을 때, Create - 사진을 올리는 요청 Read - 사진을 불러오는 요청 Update - 바꾸는 요청 Delete - 지우는 요청 대부분의 요청이 4가지 요청에 속한다. 초보 .. 2021. 7. 14. 이전 1 2 다음 반응형